끊임없이 중국(기원전 220년 진시황)을 습격하고 약탈하여 평화를 빼앗게 하여 만리장성을 세우게 했던 부족은 바로 북부 야만인들은 유목민이었다. 북쪽은 두꺼운 타이가로 덮여 있었지만 대부분의 땅은 농사를 짓기에 부적합한 광대한 건조 초원과 사막이었습니다. J. Murdoch에 따르면 생계가 축산과 가축에 의존하는 목축 사회의 90%는 유목민이었습니다.
유목 사회
더욱이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고기를 먹고, 동물 가죽을 입고, 펠트로 덮인 텐트(게르)에서 사는 원시적인 생활 방식은 더 이상 새로운 문화를 만족시킬 수 없었습니다. 중앙아시아 유목민들은 불만족스러운 요구를 충족시키는 가장 쉽고 편리한 방법은 좌식 사회를 습격하고 약탈하는 것임을 발견했습니다. 목동의 가정은 가족이나 이웃 목동이 찾는 것과 동일한 상품을 필요로 하고 생산할 수 있었기 때문에 유목 사회에는 상품 교환을 위한 내부 시장이 없었습니다. 그들이 주로 외부로 물풀을 교류를 했는데, 많은 부분은 중원과 이루어 지었고 그중에 인기 품종은 차(茶)가었습니다. 드넓은 초원은 늘 풍족한 것 같았지만 목초지는 부족 간의 전쟁의 주된 원인이었습니다. 영토의 크기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 건조한 대초원은 모든 목동에게 충분한 초원을 제공할 수 없었습니다. 생명은 물 공급에 달려었지만 물자원도 부족했습니다.
유목민의 행동 규칙 | behavior
유목민은 이 광대 한 광활한 지역의 주민들이 사계절을 통해 자연과 직접 소통하며 시간 감이 거의 없는 무분별하고 자랑스러우며 방해받지 않는 사람들로 만들었던 자유와 자유분방 한 삶을 소중히 여깁니다. 유목민은 시간관이 없다, 초원은 정지되어있다는 말은 맞다고만 볼 수 없습니다. 끊임없이 변화하는 세상에서 태어난 그들은 새로운 조건에 쉽게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했습니다. 따라서 유목민들은 자연의 자비를 받고 자연과 조화롭게 살도록 강요받았기 때문에 인간의 상호 의존성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모든 유목민의 공급과 수요가 같았기 때문에 서로에 대한 적대감이 일어났습니다.
오웬 라티 모어 | Owen Lattimore
농사를 짓고 도시를 건설하는 사람들은 항상 유목민을“원시적”으로 얕보았지만, 유목민이 도시와 농장의 좌식 주민을 우러러보며 보답한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유목민들 사이에는 농민의 고된 고통과 도시 거주자의 제한된 삶에서 자유로 워진 사람들이라는 강한 전통과 자신들만의 자부감이 있습니다.
단결해야하는 이유
자원에 대한 고립과 경쟁이 유목민들이 통합된 국가 시스템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해했지만, 그들은 전쟁과 약탈을 통해 소비를 다양 화하는 데 관심을 공유했습니다. 개인적 감정보다, 부족의 생존이 우선이기에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뭉쳐야 산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것 또한 영원한 친구라는 의미는 아니었습니다. 조건이 적절할 때 부족은 함께 모여서 단결된 힘으로 정착 이웃에 대항하여 침략할 수 있을 만큼 강해졌습니다.
유목 및 정착 사회 | Sedentary Society
중국의 정착 문명과 북부 유목 문화는 상호 적대감 외에는 공통점이 거의 없었습니다. 그들의 본성은 서로를 이해할 수없는 것으로 판명되었기 때문에 광범위하게 다르며 거의 시도하지 않았습니다. 유목민들에게 목축 가축 사육은 적절하고 명예 롭고 복잡하지 않았으며, 경작할 수 있는 농사와 수공예품, 특히 건물 건설은 고물에게만 적합한 직업이었습니다. 다른 나라의 중국인들은 유목민이 조잡하고 무지하고 야만적인 사람들이라고 느꼈고 항상 그들을 경멸스럽게 대했습니다. (사실 중화사상은 오랜 기간 동안 중원은 세계 문명의 중심이었고 그 주변의 이웃들은 야만적 혹은 비문명 지역이라는 고정관념이 정착되어 왔습니다. ) 하지만 전쟁이나 패배의 위협에 직면했을 때 중국인은 선물과 공주로 "바보들"에게 뇌물을 주려고 자주 시도했습니다.
유목민 특성
유목민들은 자신의 세계관을 중국인이 아닌 서양에서 빌린 적이 없습니다. 위구르인들은 이란으로부터 마니교 종교를 가져 왔고, 훈족과 후기 몽골 유목민들은 처음에 시리아 네스토리아주의를 채택한 후 티베트 불교를 받아들였습니다. 비단, 도자기 및 기타 가정용 물품은 유목민들이 중국인에게서 가져온 것입니다. 그러나 이 수천 년 동안이 유목민들은 중국인을 갈망했습니다. 그런 다음 그들은 문명을 침략하고 그곳에 그 주인으로 정착했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항상 더 높은 계급의 문화에 완전히 삼 켜져 수많은 중국 왕조 중 하나로 역사에 기록되었습니다. 완성된 문화를 만들 수 없었지만 유목민들에게는 완성된 것을 소유하려는 야망적 계획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The northern barbarians, who incessantly raided and looted China, depriving it to peace and forcing the building of the Great Wall, were a nomadic people. Though covered with thick taiga in the north, most of their land was a vast expanse of arid steppes and deserts, unsuitable for farming. According to J.Murdoch, 90 percent to the herder society whose livelihood depended on husbandry and by domesticating animals were nomads.
Nomadic Society
Furthermore, as society developed, the primitive lifestyle of eating meat, wearing animal skins, and living in felt-covered tents could no longer satisfy the emerging culture. Central Asian nomads found that the easiest and most convenient way to meet their unsatisfied demands was to raid and loot sedentary societies. Since a herdsman’s household needed and could produce goods identical to those sought by the families or neighboring herdsmen, nomadic societies lacked an internal market for the exchange of commodities. Pastureland was the main reason for wars between tribes. Despite to size of their territory, the generally arid steppes could not provide every herder with sufficient grassland. In addition, rivers were scarce, and life depended on a supply of water.
Nomadic Behavior
Nomadic cherish their freedom and the free-wheeling life that the inhabitants of these vast expanses led through four seasons, communicating directly with nature, shaped them into an unruly, proud, and uninhibited people, with little sense of time. Born into a world of constant change, they developed an ability to adapt easily to new conditions. Since pastoral nomads were at the mercy of nature and were forced to live in harmony with it, human interdependence was relatively low. Since the supply and demand for every nomad family were the same, hostilities with each other arose.
Owen Lattimore
While farming and city-building peoples have always looked down on nomads as “primitive” it does not mean that nomads have reciprocated by looking up to the sedentary inhabitants of the city and farm. There is a strong tradition among nomads that they are people who have made themselves free form the drudgery of the peasant and the restricted life of the city dweller.
A Reason to Unite
Although isolation and competition for resources hindered the nomads from moving towards an integrated system of statehood, they shared an interest in diversifying their consumption now and then through wars and looting. When conditions were right, a tribe would grow strong enough to come together and direct their united force in aggression against a sedendary neighbor.
Nomadic and Sedentary Society
China’s sedentary civilization and the northern nomadic culture had little in common except mutual hostility. Their natures ere do widely divergent that they proved incapable of understanding each other, and seldom did they try. To the nomads, pastoral livestock breeding was suitable, honorable, and uncomplicated, it was by far the most agreeable occupation, while arable farming and handicrafts, and particularly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were jobs suitable only for salves. The Chinese, on the other land, felt that nomads are crude, ignorant and savage people, and always treated them disdainfully. When facing a threat of war or defeat, the Chinese frequently attempted to bribe “the fools” with gifts and princesses.
Nomadic Traits
The nomads never borrowed their world outlook from the Chinese but from the West. The Uighurs brought the religion of Manichaeism from Iran, while the Huns and the latter-day nomads in Mongolia initially adopted Syrian Nestorianism, then embraced the Buddish of Tibert. Silks, pottery and other articles of domestic use were what the nomads took from the Chinese. A few times, however, in these thousands of years these nomadic tribes craved things Chinese. They then invaded civilization and settled there as its masters. Then invariably they were completely swallowed up by the culture of a higher order and were recorded in history as one of the numerous Chinese dynasties.
'스탭핑 이야기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왕의 아들들 (0) | 2021.02.16 |
---|---|
몽골제국이 싸웠다 하면 이기는 이유? (0) | 2021.02.16 |
몽골 당신은 누구인가? – 부족의 기원 (0) | 2021.02.15 |
알타이 패미리 – 몽골어(文) 기원 (0) | 2021.02.15 |
유목민의 종교적 신앙 (0) | 2021.02.15 |